분류 전체보기(28)
-
[EKS@CloudNet] EKS by Terraform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- 잘못된 점, 업데이트된 지식, 다른 코멘트 언제나 환영입니다! 0. Setup- 테라폼 설치# tfenv 설치brew install tfenv# 테라폼 1.5.1 버전 설치tfenv install 1.8.1# 테라폼 1.5.1 버전 사용 설정 tfenv use 1.8.1# tfenv로 설치한 버전 확인tfenv list# 테라폼 버전 정보 확인terraform version# 자동완성terraform -install-autocomplete - 맥 기준 awscli/eksctl/kubectl/helm/watch/jq/tree 설치brew install awscli eksct..
2024.04.28 -
[EKS@CloudNet] EKS CI/CD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 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 - 잘못된 점, 업데이트된 지식, 다른 코멘트 언제나 환영입니다! 0. Setup 이번 세션에서는 CI/CD를 위한 툴들을 실습했다. 우선 CI/CD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면 - CI: Continuous Integration. 지속적인 개발과 기존 코드로의 통합 - CD: Continuous Deployment. 한마디로 자동 배포 로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다. 실습 세팅은 앞에서 여러 번 했으니 지난 블로그 참고! kube-ops-view, prometheus, Grafana를 설치한다. 1. Docker & Dockerhub - 실습을 위해서 우선 도커 회원가입이 필..
2024.04.21 -
[EKS@CloudNet] EKS Security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 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 - 잘못된 점, 업데이트된 지식, 다른 코멘트 언제나 환영입니다! 0. Setup - 기존에는 1 Bastion, 3 worker nodes 의 구조로 이루어졌지만 이번에는 2 bastions, 3 worker nodes로 구성된다. 한 Bastion은 하나의 유저에 맵핑되므로, 이번 실습 환경은 DevOps 신입사원이 한명 더 들어왔다는 가정의 구현이라고 볼 수 있다. - 실습 환경은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가시다님의 원클릭 배포 파일을 cloudformation에서 수행하는 방식으로 세팅한다. kubeopsview, prometheus, grafana는 동일하니까 생략하겠다..
2024.04.14 -
[EKS@CloudNet] EKS Autoscaling: Karpenter 외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 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 Autoscaling이란? 개인적으로 오토스케일링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존재 이유라고 생각해서 이번 세션이 기다려졌다. 오토스케일링은 시스템 리소스의 메트릭을 모니터링하여 서버를 자동으로 증설/감설하는 서비스이다. 따라서 평시에는 리소스를 적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수요 증가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서버 증설에는 scale up과 scale out 두 가지 방법이 있다. - scale up: 인스턴스 스펙을 업그레이드해서 더 좋은 인스턴스를 사용 예시: intel i3 -> intel i7로 교체 장점: 구현이 쉽다 단점: 비용이 ..
2024.04.07 -
[EKS@CloudNet] EKS Observability: Prometheus & Grafana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 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 0. Setup - 기존과 비슷하게 가시다님이 배포해주신 원클릭 배포 파일을 사용한다. 기존 베포 파일에서는 노드 스펙으로 t3.medium을 사용했었는데 이번에는 t3.xlarge 를 사용한다. - bastion address로 접속해서 노드가 잘 배포되었는지 확인한다. - 기본 설정을 위해 node IP 확인해서 PrivateIP 변수로 넣어주고, 노드 보안그룹 ID를 확인한다. N1=$(kubectl get node --label-columns=topology.kubernetes.io/zone --selector=topology.kubernetes.io/zone=ap-..
2024.03.31 -
[EKS@CloudNet] EKS Storage & Nodegroup
- CloudNet에서 주관하는 EKS 스터디 2기 내용입니다 - 매번 좋은 스터디를 진행해 주시는 CloudNet 팀 감사드립니다 0. Setup - 기존과 비슷하게 가시다님이 배포해주신 원클릭 배포 파일을 사용하지만, IAM의 serviceAccount와 maxPodPerNode (node당 최대 pod 갯수)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. - CloudFormation에 yaml을 어떻게 적용할지 모른다면 우선 AWS 콘솔의 CloudFormation 페이지에 들어가서, "스택 생성" 을 누르면 yaml을 업로드하고 기존과 같이 스택을 생성할 수 있다. - EFS filesystem 확인 가시다님이 미리 $EfsFsId 로 EFS 콘솔의 ID를 지정해놓으셨다. 따라서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서 원하는 디렉토..
2024.03.23